내 뜻으로 저자의 뜻을 구하는 ‘이의역지’ 독서

미움 받을 독서만이 당신에게 용기를!
내 뜻으로 저자의 뜻을 구하는 ‘이의역지’ 독서

“청년 : 아들러 심리학만 이해하면 저도 Y처럼 될 수 있다는 말씀입니까?”

“철학자 : 왜 그리 서두르나? 답이란 남에게서 얻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구하는 것이라네. 남이 던져준 답은 어차피 대증요법(對症療法)에 불과해. 아무런 가치도 없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여전히 베스트셀러 상위에 올라가 있는 ‘미움받을 용기’에 나오는 한 대목이다.

‘사람을 잘 사귀지 못하고 삐뚤어진 데가 많은’ 청년이 ‘누구에게나 사랑받고 순식간에 주변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해바라기 같은 남자’ Y처럼 되고 싶어 철학자에게 묻고 답하는 형식의 이 책이 왜 그토록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을까?

여러 견해들이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소수였던 주장이 수면 위로 올라와도 우리에게 그것을 받아들일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때 우리는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 성(性)을 기준으로 하는 그의 이론이 미심쩍은데, 거기에 반박하면 지적 수준이 떨어지는 사람으로 찍히는 수모를 감내해야 했다.

즉, 지식인들이 만든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난 이탈자로 살아야 했고, 드러나든 드러나지 않든 프로이트 관심자들로부터 미움도 받아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프로이트에게서 갈라선 칼 구스타브 융이 지식 세계를 차지했고, 저마다 융의 원형(原型, Archetype)을 공부하기 위해 매달렸다.

이해가 될 듯, 이해가 되지 않을 듯 골머리가 아팠지만, 역시 그의 이론을 반박하기 어려웠다. 잘 모르겠다고 해야지 융이 틀렸다고 하면 무식하다면서 미움을 받기 때문이었다.

‘미움받을 용기’는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지 프로이트, 융과 더불어 이미 세계 3대 정신학자로 간주되는 알프레드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기반으로 전개되는 이야기책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프로이트도 통달하고, 융도 이해하고, 그 다음으로 아들러를 접하기 위해 이 책을 읽고 있을까? 그렇지 않다.

과학교사 출신으로 이과 서적만 접했던 주부 A씨는 학교를 그만두고 아이를 낳으며 가정을 꾸리던 어느 날 ‘내 삶이 무엇인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남편과 아이들에 둘러싸여 하루하루 소진되는 듯한 삶에 힘을 얻고 싶어 궁리 끝에 책을 읽어 나갔다.

그 출발은 아이들에게 좋은 책을 찾아주기 위한 것이었는데, 뒤돌아보니 정작 자신이 이른바 문과 쪽의 책을 전혀 읽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렇게 A씨는 자신의 삶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책을 가까이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책을 하나씩 찾아냈고, 그것이 알려진 책이든 그렇지 않은 책이든 개의치 않았다.

가장 큰 기준은 ‘내 삶에 도움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였다. 그러면서 ‘미움받을 용기’를 접했다. A씨는 무릎을 탁 쳤다.

오랫동안 프로이트의 이론이 틀린 것 같다고 여겼는데, 그것을 용기 있게 말할 수 없었던 자신에게 용기를 준 책이었기 때문이다

즉, 내가 이 세상의 주인공이 되는 이론적 기반을 내 스스로 만들어가도 그것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내 생각에 대해 내가 문제를 삼는 것은 사회로부터 고립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사회적 두려움 때문이지 정작 주인으로서의 내 삶과는 무관했다는 것을 말이다.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한양대 정민 교수의 ‘오직 독서뿐’을 보면, “내가 일찍이 맹자가 말한 ‘내 뜻으로 지은이의 뜻을 거슬러 구한다’는 이의역지(以意逆志) 네 글자를 독서의 비결로 삼았다. … 이제 나의 뜻을 가지고 옛사람의 뜻을 거슬러 올라가, 하나로 합쳐져 아무 간격이 없고 서로 기뻐하여 이해하면, 이는 옛사람의 정신과 식견이 내 마음에 스미어 하나가 된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때 내가 읽는 책의 저자들이 무엇을 말하는지도 중요하겠지만, 그 출발은 ‘내 뜻’이다. 진짜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정말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즉 사회적 기준이 아니라 나의 부족과 결핍을 채우기 위한 독서가 되어야 내 삶이 풍부해지는 독서가 된다는 것이다.

주위를 보면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내가 온전히 살기 위해 나만의 독서’를 하는 사람들이 상당하다.

아마 그들은 “답이란 남에게서 얻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구하는 것이라네”를 독서 지침으로 삼고 있을 것 같다.

소중한 글입니다.
"좋아요" 이모티콘 또는 1감사 댓글 달기
칭찬.지지.격려가 큰 힘이 됩니다.

저작권자 © 감사나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