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이모저모

 


취기는 알코올 때문에 생기기에 얼핏 생각해보면 취기와 도수는 비례할 것 같다. 그런데 주변을 보면 소주보다 맥주, 와인 등 도수가 더 낮은 주종을 마셨을 때 더 잘 취한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왜 그런 걸까?
한양대 구리병원 응급의학과 강보승 교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성분이 소주에는 거의 들어있지 않지만 맥주, 와인 등에는 꽤 함유돼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강보승 교수는 '학교도 병원도 알려주지 않는 술 한 잔의 의학'을 집필한 저자다.


취기를 불러일으키는 핵심에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있다. 이 성분은 알코올보다 10~30배 더 독성이 강해, 체내에 남아있으면 얼굴을 붉히고 속을 메스껍게 하는 등 숙취를 유발한다. 게다가 알코올 분해 효소(ADH)와 결합해 알코올이 분해되는 것을 막는다. ’취기' 다시 말해 혈중알코올농도가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강보승 교수는 “맥주나 와인은 술 자체에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제법 있어서 처음 마실 때부터 체내로 그 성분이 들어오게 되어 알코올 분해 능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기에, 소주보다 혈중 알코올농도가 상승하기 더 쉬운 것”이라고 말했다. 소주는 생산과정에서 정제가 되어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전혀 들어있지 않다고 봐도 무방하다. 물론 사람마다 다른 특성도 작용한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장재영 교수는 “명확하게 논문이나 연구로 밝혀진 건 없다”며 “사람마다 다른 유전적인 특성일 수 있다”고 말했다.

                                                                           <헬스조선에서 발췌>

소중한 글입니다.
"좋아요" 이모티콘 또는 1감사 댓글 달기
칭찬.지지.격려가 큰 힘이 됩니다.

저작권자 © 감사나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